맨위로가기

대한민국 건설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 건설부는 1961년 부흥부 폐지 후 신설되어 국토 및 수자원 관리, 도시, 주택 건설 등을 관장했다. 1961년 국토건설청으로 잠시 변경되었다가 1962년 건설부로 재설치되었으며, 1994년 교통부와 통합되어 건설교통부로 개편되었다. 건설부의 조직은 감사관, 공보관 등을 포함한 여러 국과 실, 그리고 산하 기관으로 구성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61년 폐지 - 네덜란드령 뉴기니
    네덜란드령 뉴기니는 1898년 네덜란드가 영유권을 주장하며 형성된 식민지로, 인도네시아 독립 후 귀속 문제로 갈등을 겪다가 UN을 거쳐 인도네시아로 이관되었으며, 파푸아인의 자결권 문제가 지속적으로 논쟁되고 있다.
  • 1961년 폐지 - 용흥동
    용흥동은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에 위치한 행정 구역으로, 고려 시대부터 역사를 이어왔으며, 현재는 상업 시설, 교육 기관, 공공 기관, 의료 기관 등 다양한 시설과 교통망을 갖추고 있다.
  • 1994년 폐지 - 대한민국 경제기획원
    대한민국 경제기획원은 경제 정책 총괄, 예산 편성 및 집행, 자원 동원과 투자 등을 관장했던 중앙행정기관으로, 1961년 발족하여 경제 개발을 주도하고 1994년 재무부와 통합되며 폐지되었다.
  • 1994년 폐지 - 영주시
    영주시는 경상북도 북부에 위치하며 소백산맥을 경계로 봉화군, 예천군, 안동시 등과 접하고 내성천 등의 하천이 흐르며 인삼과 사과가 특산물인 도농복합형태의 시이다.
  • 1962년 설립 - 후쿠시마 TV
    후쿠시마 TV는 후쿠시마현 최초의 민영 텔레비전 방송국으로 개국하여 여러 네트워크와의 제휴 및 탈퇴를 거쳐 현재는 FNN/FNS 계열의 완전 독점 방송국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후쿠시마현이 주식의 절반을 소유하여 공공적인 성격을 띠는 것이 특징이다.
  • 1962년 설립 - 정수장학회
    정수장학회는 김지태가 설립한 부일장학회를 모태로 5.16 군사정변 이후 경제적 어려움에 처한 인재를 지원하기 위해 설립된 단체로, 문화방송(MBC)과 부산일보 지분을 보유하고 박정희 친인척 및 측근이 운영하며 설립 과정과 소유권 문제 등으로 논란이 되어왔고 과거사위원회는 재산이 강압에 의해 헌납되었다고 결론내렸다.
대한민국 건설부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정보
이름건설부
정보
현지어 이름建設部
정보
설립일1961년 5월 29일
정보
전신부흥부
정보
해산일1961년 7월 22일
정보
후신경제기획원
국토건설청
정보
설립일1962년 6월 18일
정보
전신국토건설청
정보
해산일1994년 12월 23일
정보
후신건설교통부

2. 설치 근거 및 소관 업무

국민경제의 효율적 운용을 위한 종합적 계획을 수립하고 그 실시를 관리 조정한다.[1] 국토 및 수자원의 보전·이용·개발·개조와 도시·도로·항만(어항시설관계는 제외)·하천·간척(농업을 목적으로 하는 간척은 제외)과 주택건축에 관한 사무를 관장한다.[2]

3. 연혁

1961년 5월 29일 부흥부를 폐지하고 '''건설부'''를 신설하였다. 1961년 7월 22일 건설부를 폐지하고 경제기획원의 외청으로 '''국토건설청'''을 신설하였다. 1962년 6월 18일 국토건설청을 폐지하고 건설부를 재설치하였다. 1994년 12월 23일 교통부와 통합하여 '''건설교통부'''로 개편하였다.

3. 1. 설립 과정

1961년 5월 29일 부흥부를 폐지하고 건설부를 신설하였다. 1961년 7월 22일 건설부를 폐지하고 경제기획원의 외청으로 국토건설청을 신설하였다. 1962년 6월 18일 국토건설청을 폐지하고 건설부를 재설치하였다. 1994년 12월 23일 교통부와 통합하여 건설교통부로 개편하였다.

3. 2. 교통부와의 통합

1994년 12월 23일 건설부는 교통부와 통합하여 건설교통부로 개편되었다.

4. 조직

대한민국 건설부의 조직은 다음과 같다.


  • 감사관 (1977년 9월 ~ 1994년 12월)
  • 공보관 (1973년 3월 ~ 1994년 12월)
  • 총무과 (1962년 6월 ~ 1994년 12월)
  • 중앙토지수용위원회 (1963년 4월 ~ 1994년 12월)
  • 기획관리실 (1970년 1월 ~ 1994년 12월)
  • 비상계획관 (1987년 12월 ~ 1994년 12월)
  • 관리국 (1962년 6월 ~ 1981년 11월)
  • 건설경제국 (1990년 3월 ~ 1994년 12월)
  • 건설기술국 (1994년 5월 ~ 1994년 12월)
  • 건설진흥국 (1981년 11월 ~ 1990년 3월)
  • 국토계획국 (1968년 7월 ~ 1994년 12월)
  • 기술관리관 (1990년 3월 ~ 1994년 5월)
  • 기술관리관(건설기계담당)실 (1990년 3월 ~ 1994년 5월)
  • 기술관리관(기술감리담당)실 (1990년 3월 ~ 1994년 5월)
  • 기술관리관(기술심의담당)실 (1990년 3월 ~ 1994년 5월)
  • 기술관리관(기술진흥담당)실 (1990년 3월 ~ 1994년 5월)
  • 기술관리실 (1983년 9월 ~ 1990년 3월)
  • 도로국 (1968년 7월 ~ 1994년 12월)
  • 도시국 (1976년 12월 ~ 1994년 12월)
  • 상하수도국 (1984년 12월 ~ 1994년 12월)
  • 수자원국 (1962년 6월 ~ 1994년 12월)
  • 신도시건설기획관 (1990년 3월 ~ 1994년 5월)
  • 신도시건설기획관(건축담당)실 (1990년 3월 ~ 1994년 5월)
  • 신도시건설기획관(기획담당)실 (1990년 3월 ~ 1994년 5월)
  • 신도시건설기획관(시설담당)실 (1990년 3월 ~ 1994년 5월)
  • 신도시건설기획관(택지담당)실 (1990년 3월 ~ 1994년 5월)
  • 신도시건설기획실 (1989년 7월 ~ 1990년 3월)
  • 주택국 (1976년 12월 ~ 1994년 12월)
  • 지가조사국 (1990년 1월 ~ 1994년 5월)
  • 토지국 (1979년 6월 ~ 1994년 12월)
  • 항만시설국 (1968년 7월 ~ 1976년 3월)
  • 해외건설국 (1983년 9월 ~ 1990년 3월)
  • 해외국 (1976년 8월 ~ 1981년 11월)
  • 국립건설시험소 (1983년 9월 ~ 1994년 12월)
  • 국립건설연구소 (1968년 7월 ~ 1983년 9월)
  • 국립지리원 (1974년 10월 ~ 1994년 12월)
  • 건설공무원교육원 (1983년 9월 ~ 1994년 12월)
  • 건설공무원교육원 (1963년 7월 ~ 1974년 10월)
  • 중앙장비관리사무소 (1975년 6월 ~ 1994년 12월)
  • 한강홍수통제소 (1977년 9월 ~ 1994년 12월)
  • 금강홍수통제소 (1990년 8월 ~ 1994년 12월)
  • 낙동강홍수통제소 (1987년 3월 ~ 1994년 12월)
  • 섬진강홍수통제소 (1990년 1월 ~ 1994년 12월)
  • 영산강홍수통제소 (1991년 9월 ~ 1994년 12월)
  • 서울지방국토관리청 (1975년 6월 ~ 1994년 12월)
  • 부산지방국토관리청 (1975년 6월 ~ 1994년 12월)
  • 대전지방국토관리청 (1979년 6월 ~ 1994년 12월)
  • 원주지방국토관리청 (1979년 6월 ~ 1994년 12월)
  • 이리지방국토관리청 (1979년 6월 ~ 1994년 12월)
  • 제주개발건설사무소 (1979년 6월 ~ 1994년 12월)
  • 광주지방국토관리청 (1979년 6월 ~ 1983년 12월)
  • 대구지방국토관리청 (1979년 6월 ~ 1981년 11월)
  • 강원도지방국토관리청 (1975년 6월 ~ 1979년 6월)
  • 경상북도지방국토관리청 (1975년 6월 ~ 1979년 6월)
  • 전라남도국토관리청 (1975년 6월 ~ 1979년 6월)
  • 전라북도지방국토관리청 (1975년 6월 ~ 1979년 6월)
  • 제주도지방국토관리청 (1975년 6월 ~ 1979년 6월)
  • 충청남도지방국토관리청 (1975년 6월 ~ 1979년 6월)
  • 충청북도지방국토관리청 (1975년 6월 ~ 1979년 6월)
  • 영남국토건설국 (1963년 9월 ~ 1975년 6월)
  • 중부국토건설국 (1965년 5월 ~ 1975년 6월)
  • 태백산국토건설국 (1963년 9월 ~ 1975년 6월)
  • 호남국토건설국 (1963년 9월 ~ 1975년 6월)
  • 중앙국토건설국 (1963년 9월 ~ 1965년 5월)
  • 제주특별건설국 (1974년 6월 ~ 1975년 6월)
  • 제주개발특별건설국 (1973년 12월 ~ 1974년 6월)
  • 태백산지역국토건설국 (1961년 10월 ~ 1962년 2월)

5. 역대 장·차관

5. 1. 건설부 장관

(현 평남과 분리)육사원호처장2대신태환(申泰煥)1961년 6월 22일 ~ 1961년 7월 22일경기 인천
(현 경기와 분리)일본 히토쓰바시대서울대 총장&국토통일원 장관제2공화국초대박임항(朴林恒)1962년 6월 18일 ~ 1963년 3월 11일함남 홍원육사국방연구원장서리조성근(趙性瑾)1963년 3월 11일 ~ 1963년 3월 16일경남 사천육사국토건설청장&건설부 차관2대1963년 3월 16일 ~ 1963년 12월 17일제3공화국3대정낙은(鄭樂殷)1963년 12월 17일 ~ 1964년 5월 11일한양
(현 서울)일본 도쿄대기계금속시험연구소장4대전예용(全禮鎔)1964년 5월 11일 ~ 1966년 12월 27일한양
(현 서울)일본 규슈대서울특별시 부시장&신민주공화당 상임고문&한국은행 총재&국제법학회장5대김윤기(金允基)1966년 12월 27일 ~ 1967년 10월 3일전북 김제일본 와세다대교통부 차관&교통부 장관&무임소 장관&대한축구협회장&한국건축가협회장6대주원(朱源)1967년 10월 3일 ~ 1969년 2월 17일함남일본 도쿄대align="center" |7대이한림(李翰林)1969년 2월 17일 ~ 1971년 6월 4일함남 안변일본 육사육사 교장&주 터키 대사&주 오스트레일리아 대사&한국관광공사 사장8대태완선(太完善)1971년 6월 4일 ~ 1972년 1월 4일경남 하동서울대상공부 장관&경제부총리&제2·5·10대 국회의원&유신정우회장&대한상공회의소 회장&대한석탄공사 이사장9대장예준(張禮準)1972년 1월 4일 ~ 1973년 12월 3일황해 봉산서울대경제기획원 차관&상공부 장관&동력자원부 장관&주 사우디아라비아 대사&국민은행 이사장&대한건설진흥회장제4공화국10대이낙선(李洛善)1973년 12월 3일 ~ 1974년 9월 18일경북 안동동아대국세청장&상공부 장관11대김재규(金載圭)1974년 9월 18일 ~ 1976년 12월 4일경북 선산
(현 경북 구미)육사중앙정보부 차장&중앙정보부장&제9대 국회의원&호남비료 사장12대신형식(申泂植)1976년 12월 4일 ~ 1978년 12월 22일전남 고흥미국 미주리대무임소 장관&제6·8·9·10대 국회의원13대고재일(高在一)1978년 12월 22일 ~ 1979년 12월 4일전남 제주
(현 제주 제주)건국대국세청장&조달청장&전매청장14대최종완(崔鍾浣)1979년 12월 14일 ~ 1980년 9월 2일강원 강릉서울대강원도지사&공업진흥청장&과학기술처 장관15대김주남(金周南)1980년 9월 2일 ~ 1982년 1월 4일강원 강릉서울대경기도지사&경제기획원 차관보&건설부 차관&해외개발공사 이사장&한국도로공사 이사장제5공화국16대김종호(金宗鎬)1982년 1월 4일 ~ 1983년 10월 15일전남 광양서울대전라남도지사17대김성배(金聖培)1983년 10월 15일 ~ 1986년 1월 8일강원 강릉미국 버밍엄대강원도지사&경상북도지사&서울특별시장&한국양회공업협회장18대이규효(李圭孝)1986년 1월 8일 ~ 1987년 12월 15일경남 고성서울대경남도지사&건설부 주택도시국장·기획관리실장&내무부 차관&건설부 차관&국립공원협회장19대최동섭(崔同燮)1987년 12월 15일 ~ 1988년 12월 5일전북 남원서울대총무처 행정조사연구실장&소청심사위원회 위원장노태우 정부20대박승(朴昇)1988년 12월 5일 ~ 1989년 7월 19일전북 김제서울대중앙대 교수&대통령비서실 경제수석비서관&한국은행 총재&대한주택공사 이사장&한국경제학회장21대권영각(權寧珏)1989년 7월 19일 ~ 1990년 9월 19일경북 안동육군대국방부 차관&한국주택공사 사장22대이상희(李相熙)1990년 9월 19일 ~ 1991년 2월 18일경북 성주고려대경상북도지사&산림청장&내무부 장관23대이진설(李鎭卨)1991년 2월 18일 ~ 1991년 12월 19일경북 선산
(현 경북 구미)서울대서울산업대 총장&대통령비서실 경제수석비서관&건설부 차관&경제기획원 차관&공정거래위원회 위원장24대서영택(徐榮澤)1991년 12월 19일 ~ 1993년 2월 25일경북 대구
(현 경북과 분리)서울대국세청장&한국국제조세협회 이사장문민정부25대허재영(許在榮)1993년 2월 26일 ~ 1993년 3월 8일전북 순창고려대건설부 도시국장·기획관리실장&국토개발연구원장26대고병우(高炳佑)1993년 3월 8일 ~ 1993년 12월 21일전북 군산서울대대통령비서실 경제수석비서관&한국증권거래소 이사장&쌍용투자증권 사장&동아건설 회장&한국경연인협회장27대김우석(金佑錫)1993년 12월 21일 ~ 1994년 12월 23일경남 진해
(현 경남 창원)동아대내무부 장관&제13대 국회의원


5. 2. 건설부 차관

(현 서울)서울대재무부 차관&농수산부 장관&체신부 장관6대정재석(丁渽錫)1972년 1월 4일 ~ 1974년 10월 25일전북 장수서울대경제기획원 차관&교통부 장관&상공부 장관&경제부총리제4공화국7대김주남(金周南)1974년 10월 25일 ~ 1980년 1월 17일강원 강릉서울대경기도지사&경제기획원 차관보&건설부 장관&해외개발공사 이사장&한국도로공사 이사장8대최석원(崔錫元)1980년 1월 17일 ~ 1980년 7월 9일경남 김해서울대부산직할시장&노동청장&내무부 치안국장9대이규효(李圭孝)1980년 7월 15일 ~ 1982년 5월 24일경남 고성서울대경상남도지사&건설부 주택도시국장·기획관리실장&내무부 차관&건설부 장관&국립공원협회장제5공화국10대서상철(徐相喆)1982년 5월 24일 ~ 1982년 6월 24일충남 홍성미국 클라크대고려대 교수&동력자원부 장관11대이관영(李寬永)1982년 6월 26일 ~ 1986년 1월 13일충북 청주육사전주지방국토관리청장&건설부 국토계획국장·관리국장·기획관리실장&대한석탄공사 이사장12대이형구(李炯九)1986년 1월 13일 ~ 1988년 3월 3일충남 청양서울대경제기획원 차관&노동부 장관노태우 정부13대김한종(金漢鍾)1988년 3월 4일 ~ 1989년 7월 20일경남 사천부산대건설부 관리국장·토지국장·주택국장·기획관리실장&한국고속철도건설공단 이사장14대이진설(李鎭卨)1989년 7월 20일 ~ 1990년 3월 19일경북 선산
(현 경북 구미)서울대서울과학기술대 총장&대통령비서실 경제수석비서관&경제기획원 차관&건설부 장관&공정거래위원회 위원장15대김대영(金大泳)1990년 3월 19일 ~ 1991년 2월 18일황해 안악연세대통계청장&대한주택공사 사장&해외건설협회장16대이상룡(李相龍)1991년 2월 18일 ~ 1993년 3월 3일강원 홍천고려대강원도지사&내무부 기획관리실장&노동부 장관&국토연구원장문민 정부17대이건영(李建榮)1993년 3월 4일 ~ 1993년 9월 7일경기 용인서울대국토개발연구원장18대유상열(柳常悅)1993년 9월 7일 ~ 1994년 12월 23일충북 청주서울대건설부 주택국장·토지국장·국토계획국장·제1차관보&한국고속철도건설공단 이사장&대한건설진흥회장


6. 평가 및 영향

6. 1. 긍정적 평가

6. 2. 부정적 평가

7. 같이 보기

참조

[1] 법률 정부조직법 국가재건최고회의령 1961-05-26
[2] 법률 정부조직법 법률 1962-06-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